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1284)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는? (4)
    • 2023년 9월호(167호) (16)
    • 2023년 8월호(166호) (17)
    • 2023년 7월호(165호) (16)
    • 2023년 6월호(164호) (18)
    • 2023년 5월호(163호) (17)
    • 2023년 4월호(162호) (18)
    • 2023년 3월호(161호) (16)
    • 2023년 2월호(160호) (16)
    • 2023년 1월호(159호) (20)
    • 2022년 12월호(158호) (18)
    • 2022년 11월호(157호) (19)
    • 2022년 10월호(156호) (15)
    • 2022년 9월호(155호) (15)
    • 2022년 8월호(154호) (13)
    • 2022년 7월호(153호) (13)
    • 2022년 6월호(152호) (24)
    • 2022년 5월호(151호) (14)
    • 2022년 4월호(150호) (14)
    • 2022년 3월호(149호) (15)
    • 2022년 2월호(148호) (14)
    • 2022년 1월호(147호) (16)
    • 2021년 12월호(146호) (16)
    • 2021년 11월호(145호) (16)
    • 2021년 10월호(144호) (14)
    • 2021년 9월호(143호) (16)
    • 2021년 8월호(142호) (13)
    • 2021년 7월호(141호) (16)
    • 2021년 6월호(140호) (12)
    • 2021년 5월호(139호) (14)
    • 2021년 4월호(138호) (16)
    • 2021년 3월호(137호) (16)
    • 2021년 2월호(136호) (14)
    • 2021년 1월호(135호) (15)
    • 2020년 12월호(134호) (15)
    • 2020년 11월호(133호) (18)
    • 2020년 10월호(132호) (14)
    • 2020년 9월호(131호) (14)
    • 2020년 8월호(130호) (17)
    • 2020년 7월호(129호) (15)
    • 2020년 6월호(128호) (15)
    • 2020년 5월호(127호) (17)
    • 2020년 4월호(126호) (15)
    • 2020년 3월호(125호) (15)
    • 2020년 2월호(124호) (14)
    • 2020년 1월호(123호) (16)
    • 2019년 12월호(122호) (16)
    • 2019년 11월호(121호) (14)
    • 2019년 10월호(120호) (19)
    • 2019년 9월호(119호) (15)
    • 2019년 8월호(118호) (16)
    • 2019년 7월호(117호) (12)
    • 2019년 6월호(116호) (17)
    • 2019년 5월호(115호) (17)
    • 2019년 4월호 (114호) (16)
    • 2019년 3월호(제113호) (17)
    • 2019년 2월호(제112호) (16)
    • 2019년 1월호(제111호) (15)
    • 2018년 12월호(제110호) (16)
    • 2018년 11월호(제109호) (15)
    • 2018년 10월호(제108호) (17)
    • 2018년 9월호(제107호) (15)
    • 2018년 8월호(제106호) (15)
    • 2018년 7월호(제105호) (15)
    • 2018년 6월호(제104호) (15)
    • 2018년 5월호(제103호) (14)
    • 2018년 4월호(제 102호) (12)
    • 2018년 3월호(제 101호) (15)
    • 2018년 2월호(제100호) (16)
    • 삶의 스토리 (22)
    • 기업 (30)
      • 가비양(커피 칼럼 & 스토리) (12)
      • 참든건강과학 (4)
      • 창조기업들 (14)
    • 인문학 (14)
      • 황혼과 여명 (12)
      • 영화 비평 (2)
    • 컬럼 (17)
      • 직장인 스터디 (4)
      •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 (11)
      • 성기원의 심리성장 (2)
    • 교육 (19)
      • 크래들코리아 교육현장칼럼 (11)
    • 여행 (31)
      •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4)
      • 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5)
    • 예술 (32)
      • Retrospective & Prospective.. (8)
      • 미술 (5)
      • 음악 (13)
      • 방송 & 미디어 (2)
      • 디자이너 (1)
      • 예술인 (3)
    • 환경 (16)
      • 한영식의 생물콘서트 (3)
      • 숲해설사 이야기 (10)
      • 최승호의 환경칼럼 (3)
    • 법률 (2)
      • 황경태 변호사의 법률칼럼 (2)
    • 금융 (4)
      • 금융스토리 (4)
    • 문학 (8)
      • 김단혜 에세이 (3)
      • 시 (5)
    • 뇌과학 & IT (8)
      • IT & 뇌과학 스토리 (5)
    • 농업 (2)
    • 세계문화 (5)
    • 역사 (7)
      • 조경철의 역사칼럼 (5)
    • 책 (1)

검색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금융

  •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2018.01.06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같지만 다른 조삼모사의 경제학

    2017.10.14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영화 ‘마스터’를 통해 알아보는 '폰지 사기(Ponzi Scheme)'

    2017.07.24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당신의 자식을 돌려받고 싶으면 이곳으로 비트코인을 보내라?

    2017.07.11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이동구 금융스토리 15]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중국을 최초로 통일했던 진나라를 아시지요? 하지만 국가로 정착하지 못하고 이내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봉기와 난으로 빠르게 분열되고 붕괴되었습니다. 결국에는 유방이 ‘한’이라고 하는 나라를 세워서 중국을 통일한 이후 그 나라는 400년간 지속되며 지금에 중국인들의 문화와 민족성의 근간을 이루었습니다. 한나라를 세운 ‘유방’을 한번 주목해 볼까요? 아무리 난세에 영웅이 난다고는 하지만 이건 너무 심한 경우입니다. 패현 뒷골목에서 외상술이나 마시는 백수건달이었습니다. 나이가 서른 중반이 넘도록 직업다운 직업을 가져본 일이 없었지요. 사마천의 사기를 빌려 그의 성격을 표현하자면, ‘허풍이 많다’, ‘게으르다’, ‘무례하다’고 하니 도무지 믿음이 갈 수 없는..

금융/금융스토리 2018. 1. 6. 12:06

같지만 다른 조삼모사의 경제학

[이동구의 금융스토리 14] 같지만 다른 조삼모사의 경제학 얼마 전 첫째 아이의 머리핀이 사라졌습니다. 아이와 잘 어울리는 머리핀이라 아내도 속상해 했고, 아빠인 저도 예쁜 걸로 새로 하나 사주자고 이야기 했지요. 그러자 아내는 이미 인터넷으로 하나 주문했다고 얘기를 하더군요. 농담 삼아 “배송비가 더 많이 드는 거 아냐?”라고 하자, 아내는 “아니야. 무료배송이야”라고 답했습니다. 제가 웃으며 “그게 무슨 무료배송이야. 어차피 제품 값에 포함되어 있겠지”라고 했지만, 아내는 별로 동의하는 눈치가 아니었습니다. 실제로 여러분들도 이와 비슷한 대화를 나누어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저와 같은 얘기를 했을지, 저의 아내처럼 반응했을지는 모르겠지만요. 이쯤에서 ‘조삼모사(朝三暮四)’라고 하는 유명한 한문의 ..

금융/금융스토리 2017. 10. 14. 15:43

영화 ‘마스터’를 통해 알아보는 '폰지 사기(Ponzi Scheme)'

[금융스토리 연재 12] 영화 ‘마스터’를 통해 알아보는 ‘폰지 사기(Ponzi Scheme)’ 천 만원을 투자해서 매일 이 만원씩 받을 수 있다면 어떨까요? 만약 일억 정도 있다면 한 달에 육백 만원 정도는 받을 수 있겠네요. 그 정도 투자할 수 있다면 스트레스 받는 직장은 다니지 않아도 될만한 환상적인 얘기일 것 같습니다. 이것은 영화 ‘마스터’에 나오는 금융네트워크의 투자자 배당시스템입니다. 물론 영화에서는 투자자들의 돈으로 돌려 막기를 했던 사기행각임이 금방 드러납니다. 제가 본사에서 근무를 하다가 영업현장으로 일을 전환했을 당시 가장 놀랐던 것이 우리나라에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다단계 사업이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물론 거의 대부분 적법하지 않은 것들이었지만 대체로 상당히 그럴 듯하게 보였습니다...

금융/금융스토리 2017. 7. 24. 07:16

당신의 자식을 돌려받고 싶으면 이곳으로 비트코인을 보내라?

[금융스토리 연재 13] 당신의 자식을 돌려받고 싶으면 이곳으로 비트코인을 보내라? 최근 국내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들이 랜섬웨어라 불리는 악성코드에 의해 해커들의 공격을 받았습니다. 코드에 감염된 사이트 자료들은 암호화되어 이용할 수가 없고 접속할 경우 자료를 복구하고 싶으면 돈을 지불하라는 요구가 뜹니다. 그런데 그들이 요구한 돈은 흔히 생각하기 쉬운 달러가 아니라 ‘비트코인’이었습니다. 이런 사이버 범죄가 발생해서는 안되겠지만 사람이나 보물 같은 유형의 자산이 아닌 ‘무형의 자산들’이 인질이 되는 세상이라는 것이 한편 신기하기도 하고, 결제 수단 또한 비트코인이라고 하는 ‘가상 화폐’인 점에서 특이합니다. ‘비트코인’이 세상에 등장한 것은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가명)라고 하는 프로그래머에 의해서..

금융/금융스토리 2017. 7. 11. 07:5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후원하기>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