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1284)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는? (4)
    • 2023년 9월호(167호) (16)
    • 2023년 8월호(166호) (17)
    • 2023년 7월호(165호) (16)
    • 2023년 6월호(164호) (18)
    • 2023년 5월호(163호) (17)
    • 2023년 4월호(162호) (18)
    • 2023년 3월호(161호) (16)
    • 2023년 2월호(160호) (16)
    • 2023년 1월호(159호) (20)
    • 2022년 12월호(158호) (18)
    • 2022년 11월호(157호) (19)
    • 2022년 10월호(156호) (15)
    • 2022년 9월호(155호) (15)
    • 2022년 8월호(154호) (13)
    • 2022년 7월호(153호) (13)
    • 2022년 6월호(152호) (24)
    • 2022년 5월호(151호) (14)
    • 2022년 4월호(150호) (14)
    • 2022년 3월호(149호) (15)
    • 2022년 2월호(148호) (14)
    • 2022년 1월호(147호) (16)
    • 2021년 12월호(146호) (16)
    • 2021년 11월호(145호) (16)
    • 2021년 10월호(144호) (14)
    • 2021년 9월호(143호) (16)
    • 2021년 8월호(142호) (13)
    • 2021년 7월호(141호) (16)
    • 2021년 6월호(140호) (12)
    • 2021년 5월호(139호) (14)
    • 2021년 4월호(138호) (16)
    • 2021년 3월호(137호) (16)
    • 2021년 2월호(136호) (14)
    • 2021년 1월호(135호) (15)
    • 2020년 12월호(134호) (15)
    • 2020년 11월호(133호) (18)
    • 2020년 10월호(132호) (14)
    • 2020년 9월호(131호) (14)
    • 2020년 8월호(130호) (17)
    • 2020년 7월호(129호) (15)
    • 2020년 6월호(128호) (15)
    • 2020년 5월호(127호) (17)
    • 2020년 4월호(126호) (15)
    • 2020년 3월호(125호) (15)
    • 2020년 2월호(124호) (14)
    • 2020년 1월호(123호) (16)
    • 2019년 12월호(122호) (16)
    • 2019년 11월호(121호) (14)
    • 2019년 10월호(120호) (19)
    • 2019년 9월호(119호) (15)
    • 2019년 8월호(118호) (16)
    • 2019년 7월호(117호) (12)
    • 2019년 6월호(116호) (17)
    • 2019년 5월호(115호) (17)
    • 2019년 4월호 (114호) (16)
    • 2019년 3월호(제113호) (17)
    • 2019년 2월호(제112호) (16)
    • 2019년 1월호(제111호) (15)
    • 2018년 12월호(제110호) (16)
    • 2018년 11월호(제109호) (15)
    • 2018년 10월호(제108호) (17)
    • 2018년 9월호(제107호) (15)
    • 2018년 8월호(제106호) (15)
    • 2018년 7월호(제105호) (15)
    • 2018년 6월호(제104호) (15)
    • 2018년 5월호(제103호) (14)
    • 2018년 4월호(제 102호) (12)
    • 2018년 3월호(제 101호) (15)
    • 2018년 2월호(제100호) (16)
    • 삶의 스토리 (22)
    • 기업 (30)
      • 가비양(커피 칼럼 & 스토리) (12)
      • 참든건강과학 (4)
      • 창조기업들 (14)
    • 인문학 (14)
      • 황혼과 여명 (12)
      • 영화 비평 (2)
    • 컬럼 (17)
      • 직장인 스터디 (4)
      •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 (11)
      • 성기원의 심리성장 (2)
    • 교육 (19)
      • 크래들코리아 교육현장칼럼 (11)
    • 여행 (31)
      •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4)
      • 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5)
    • 예술 (32)
      • Retrospective & Prospective.. (8)
      • 미술 (5)
      • 음악 (13)
      • 방송 & 미디어 (2)
      • 디자이너 (1)
      • 예술인 (3)
    • 환경 (16)
      • 한영식의 생물콘서트 (3)
      • 숲해설사 이야기 (10)
      • 최승호의 환경칼럼 (3)
    • 법률 (2)
      • 황경태 변호사의 법률칼럼 (2)
    • 금융 (4)
      • 금융스토리 (4)
    • 문학 (8)
      • 김단혜 에세이 (3)
      • 시 (5)
    • 뇌과학 & IT (8)
      • IT & 뇌과학 스토리 (5)
    • 농업 (2)
    • 세계문화 (5)
    • 역사 (7)
      • 조경철의 역사칼럼 (5)
    • 책 (1)

검색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뇌과학 & IT/IT & 뇌과학 스토리

  • 환상지통(幻想肢痛)을 아시나요?

    2018.01.28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4차산업혁명의 알고리즘사회, 공정할까요?

    2017.12.10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나를 결정하는 것은 기억이 아닌 행동!

    2017.10.18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로봇 책임에 대한 법적 대응 (Legal Responses to Robot Liability) - 자율주행차의 사례로 본 -

    2017.08.11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로봇이 사고 치면, 책임은 누가 지나요?

    2017.07.05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환상지통(幻想肢痛)을 아시나요?

[뇌 이야기 6] 환상지통(幻想肢痛)을 아시나요? 최근 한 신문에서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기술로 ‘환상지통’의 극복을 돕는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았습니다. 사고나 질병으로 팔이나 다리를 잃은 사람들이 심각한 통증을 호소하곤 하는데, 절단된 부분이 아직도 살아 있는 것처럼 느껴지면서 마치 그 부위에 통증이 오는 것처럼 느낀다는 것입니다. 지금은 내 몸에서 없어진 내 머리 속의 가상의 부위에서 오는 고통이라고 해서 환상지통(幻想肢痛)이라고 합니다. 팔과 다리를 잃은 환자의 80% 이상이 이런 고통을 겪지만 그동안 정신병적인 원인으로 여겨져 치료법이 딱히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신경 과학자인 라마찬드란(V.S. Ramachandran) 박사가 1999년「뇌의 유령, Phantoms in..

뇌과학 & IT/IT & 뇌과학 스토리 2018. 1. 28. 18:37

4차산업혁명의 알고리즘사회, 공정할까요?

[IT & 뇌과학 스토리 10 - 4차산업혁명시대 알고리즘 사회]4차산업혁명의 알고리즘사회, 공정할까요? 무엇이든 척척, 알고리즘이 해결해주는 월드 와이드 브레인 시대 최근 9월, 4차산업혁명을 견인할 기술들의 미래를 전망한 ‘스마트클라우드쇼’가 열렸습니다. 기조 연설을 했던「마스터 알고리즘」의 저자인 페드로 도밍고스(Pedro Domingos)는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할 뿐 아니라 심지어 모든 종류의 데이터에 대해 최적의 알고리즘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사회가 도래할 것이라 예견하였습니다. 현재 널리 쓰이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은 부정확한 정보나 잡음 또는 모호한 정보로 인해 내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가 어려웠습니다. 미래에는 머신러닝과 마스터알고리즘을 통해 내가 원하는 것을 알아서 찾..

뇌과학 & IT/IT & 뇌과학 스토리 2017. 12. 10. 12:30

나를 결정하는 것은 기억이 아닌 행동!

[IT & 뇌과학 스토리 9]나를 결정하는 것은 기억이 아닌 행동! 뇌와 기계의 연결 평생을 딱딱하고 어두컴컴한 두개골 속에 갇혀 오로지 눈, 코, 입, 피부와 같은 감각을 의지해서 외부세계를 센싱하고 소통하는 것이 뇌가 하는 일입니다. 그렇지만 이런 뇌가 바로 ‘나’라는 존재를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이런 인간의 뇌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와 시도가 있어왔지만 아직도 신비 중에서도 신비가 바로 뇌와 의식에 대한 해석과 규명입니다. 최근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가 ‘뉴럴링크’ Neural Link라는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이 회사가 연구하려는 기술은 살아있는 사람의 두개골을 열지 않고 액체상태의 전극을 뇌에 주사하여 ‘뉴럴 레이스’ neural lace라는 전극망을 형성한 후..

뇌과학 & IT/IT & 뇌과학 스토리 2017. 10. 18. 10:00

로봇 책임에 대한 법적 대응 (Legal Responses to Robot Liability) - 자율주행차의 사례로 본 -

[IT & 뇌과학 스토리 8- AI]로봇 책임에 대한 법적 대응 (Legal Responses to Robot Liability) - 자율주행차의 사례로 본 - 자율시스템은 점차 우리의 일상 속에 침투해 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가 반드시 해야 할 질문의 하나는 이런 가속화된 변화의 결과가 과연 우리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하는 겁니다. 예를 들면, 자율 로봇이 사람에게 해를 가한다면 그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가? 하는 것이지요. 최근 자율주행차의 사례를 통해 이러한 질문과 법적인 대응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는, 명백한 원인이 없이 인간에게 해를 입힐 수 있는, 잠재적인 자율로봇의 가장 대표적 사례에 해당합니다. 현재 전 세계의 자동차 회사들은 앞 다투어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기 위해 ..

뇌과학 & IT/IT & 뇌과학 스토리 2017. 8. 11. 08:30

로봇이 사고 치면, 책임은 누가 지나요?

[IT & 뇌과학 스토리 7 - AI] 로봇이 사고 치면, 책임은 누가지나요? 2014년 겨울 휴가기간 동안 저는 서울을 떠나 옥스퍼드를 여행했습니다. 응용 윤리학 수업을 듣고 있는 제 동생과 친구들을 만나러 그리고 도시 주변의 흥미로운 워크샵과 컨퍼런스에 참석하기 위해서였지요. 그 전인 2006년에 제가 옥스퍼드에서 공부할 때는 바쁜 대학생활로 대학의 많은 흥미로운 다양한 과목들을 즐길 여유가 없었지요. 하지만 이번에는 달랐습니다. 지인들과 뜨거운 커피를 마시면서 흥미진진한 토론을 할 수 있었고, 저녁에 근처 지역의 이벤트들이 무엇이 있나 알아보려 옥스퍼드 마틴 건물로 향했습니다. 중간 크기의, 그러나 잘빠진 빛나는 새 건물이죠. 무엇보다 제가 머무는 아파트와도 가까웠는데 비 오는 날에는 최적의 조건이..

뇌과학 & IT/IT & 뇌과학 스토리 2017. 7. 5. 07:4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후원하기>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