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1284)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는? (4)
    • 2023년 9월호(167호) (16)
    • 2023년 8월호(166호) (17)
    • 2023년 7월호(165호) (16)
    • 2023년 6월호(164호) (18)
    • 2023년 5월호(163호) (17)
    • 2023년 4월호(162호) (18)
    • 2023년 3월호(161호) (16)
    • 2023년 2월호(160호) (16)
    • 2023년 1월호(159호) (20)
    • 2022년 12월호(158호) (18)
    • 2022년 11월호(157호) (19)
    • 2022년 10월호(156호) (15)
    • 2022년 9월호(155호) (15)
    • 2022년 8월호(154호) (13)
    • 2022년 7월호(153호) (13)
    • 2022년 6월호(152호) (24)
    • 2022년 5월호(151호) (14)
    • 2022년 4월호(150호) (14)
    • 2022년 3월호(149호) (15)
    • 2022년 2월호(148호) (14)
    • 2022년 1월호(147호) (16)
    • 2021년 12월호(146호) (16)
    • 2021년 11월호(145호) (16)
    • 2021년 10월호(144호) (14)
    • 2021년 9월호(143호) (16)
    • 2021년 8월호(142호) (13)
    • 2021년 7월호(141호) (16)
    • 2021년 6월호(140호) (12)
    • 2021년 5월호(139호) (14)
    • 2021년 4월호(138호) (16)
    • 2021년 3월호(137호) (16)
    • 2021년 2월호(136호) (14)
    • 2021년 1월호(135호) (15)
    • 2020년 12월호(134호) (15)
    • 2020년 11월호(133호) (18)
    • 2020년 10월호(132호) (14)
    • 2020년 9월호(131호) (14)
    • 2020년 8월호(130호) (17)
    • 2020년 7월호(129호) (15)
    • 2020년 6월호(128호) (15)
    • 2020년 5월호(127호) (17)
    • 2020년 4월호(126호) (15)
    • 2020년 3월호(125호) (15)
    • 2020년 2월호(124호) (14)
    • 2020년 1월호(123호) (16)
    • 2019년 12월호(122호) (16)
    • 2019년 11월호(121호) (14)
    • 2019년 10월호(120호) (19)
    • 2019년 9월호(119호) (15)
    • 2019년 8월호(118호) (16)
    • 2019년 7월호(117호) (12)
    • 2019년 6월호(116호) (17)
    • 2019년 5월호(115호) (17)
    • 2019년 4월호 (114호) (16)
    • 2019년 3월호(제113호) (17)
    • 2019년 2월호(제112호) (16)
    • 2019년 1월호(제111호) (15)
    • 2018년 12월호(제110호) (16)
    • 2018년 11월호(제109호) (15)
    • 2018년 10월호(제108호) (17)
    • 2018년 9월호(제107호) (15)
    • 2018년 8월호(제106호) (15)
    • 2018년 7월호(제105호) (15)
    • 2018년 6월호(제104호) (15)
    • 2018년 5월호(제103호) (14)
    • 2018년 4월호(제 102호) (12)
    • 2018년 3월호(제 101호) (15)
    • 2018년 2월호(제100호) (16)
    • 삶의 스토리 (22)
    • 기업 (30)
      • 가비양(커피 칼럼 & 스토리) (12)
      • 참든건강과학 (4)
      • 창조기업들 (14)
    • 인문학 (14)
      • 황혼과 여명 (12)
      • 영화 비평 (2)
    • 컬럼 (17)
      • 직장인 스터디 (4)
      •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 (11)
      • 성기원의 심리성장 (2)
    • 교육 (19)
      • 크래들코리아 교육현장칼럼 (11)
    • 여행 (31)
      •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4)
      • 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5)
    • 예술 (32)
      • Retrospective & Prospective.. (8)
      • 미술 (5)
      • 음악 (13)
      • 방송 & 미디어 (2)
      • 디자이너 (1)
      • 예술인 (3)
    • 환경 (16)
      • 한영식의 생물콘서트 (3)
      • 숲해설사 이야기 (10)
      • 최승호의 환경칼럼 (3)
    • 법률 (2)
      • 황경태 변호사의 법률칼럼 (2)
    • 금융 (4)
      • 금융스토리 (4)
    • 문학 (8)
      • 김단혜 에세이 (3)
      • 시 (5)
    • 뇌과학 & IT (8)
      • IT & 뇌과학 스토리 (5)
    • 농업 (2)
    • 세계문화 (5)
    • 역사 (7)
      • 조경철의 역사칼럼 (5)
    • 책 (1)

검색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컬럼/직장인 스터디

  •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알면 좋을 4가지 Tip!

    2017.10.28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나만의 ‘독서 지도’ 만들기 위한 실용적인 Tip!

    2017.08.23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새로운 분야 입문서를 읽고, 가능한 빨리 오프라인 활동 개시!

    2017.08.02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나에게 꼭 필요한 새로운 분야 책을 읽고, 슬럼프를 돌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요약노트 작성!

    2017.06.23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알면 좋을 4가지 Tip!

[직장인 스터디 1]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알면 좋을 4가지 Tip! 저는 2008년부터 데이터베이스(DB)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비전공자에다 IT분야 종사자도 아니지만 체계적인 자료 관리 방법을 배우고 싶은 마음에 도서관과 대형 서점을 돌아다니며 관련된 컴퓨터 전공 서적들을 찾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찾아보는 책마다 난해한 전문 용어가 가득했고 전공서의 두께만큼이나 방대한 내용에 쉽게 질려버리고 말았지요. 그래서 얼마 지나지 않아 DB는 컴퓨터 공학 전공자나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전유물이라 한계선을 그어 버리고 더 이상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그로부터 한참이 지난 2015년 이후에야 건설 엔지니어링 회사로 이직하면서 다시 DB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관련도서를 읽는 것이 취미가 ..

컬럼/직장인 스터디 2017. 10. 28. 11:42

나만의 ‘독서 지도’ 만들기 위한 실용적인 Tip!

[직장인 스터디 2] 나만의 ‘독서 지도’ 만들기 위한 실용적인 Tip! 지난 호에서는 직장인으로서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탐구하면서 자연스럽게 체득했던 4가지 원칙들에 대해 이야기 해 보았습니다. 1. 입문서는 남들에게 추천받기보다는 지금 내 수준에 맞는 책으로 직접 읽어보고 고른다. 2. 어려운 책 하나를 7번 반복해서 읽는 것보다는 같은 주제로 다양한 난이도를 가진 책들을 7권 읽는 것이 훨씬 더 재미있고 유익하다. 3. 입문서를 읽고 난 후에는 가능한 빨리 오프라인 활동을 시작한다. 4. 주제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 쌓였을 때는 한 권의 책을 정해 요약노트를 만들어 보는 시간을 가진다. 이번 연재에서는 첫 번째, 두 번째 원칙과 관련해 나에게 필요한 책을 고르는 방법과 제가 ..

컬럼/직장인 스터디 2017. 8. 23. 07:50

새로운 분야 입문서를 읽고, 가능한 빨리 오프라인 활동 개시!

[직장인 스토리 3] 새로운 분야 입문서를 읽고, 가능한 빨리 오프라인 활동 개시! 저는 일찍이 평범한 직장인으로 데이터베이스라는 IT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독학을 시도했었는데 높은 진입장벽을 극복하지 못하고 포기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7년이 지난 이후, 다시 독학에 도전하여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고 해당 분야에 성공적으로 입문할 수 있었죠. 입문 과정을 순조롭게 마치고 예상보다 빠른 시간 내에 많은 것을 배워 나갈 수 있었던 성공 요인 중 한 가지는 해당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끊임없이 교류했다는 점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호에는 2월호에 실린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알면 좋을 4가지 Tip’ 중 세 번째, 입문서를 읽고 난 뒤 가능한 빨리 오프라인 활동을 시작해야 하는 이유와 오..

컬럼/직장인 스터디 2017. 8. 2. 08:16

나에게 꼭 필요한 새로운 분야 책을 읽고, 슬럼프를 돌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요약노트 작성!

[직장인 스터디 4] 나에게 꼭 필요한 새로운 분야 책을 읽고, 슬럼프를 돌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요약노트 작성! 새로운 분야에 입문한 뒤 관련 주제에 대한 기본적인 소통 능력을 갖추고 나면, 짧은 시간 내에 많은 것을 습득하는 비약적 성장 단계를 거칩니다. 주제에 대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배가되고, 다양한 채널을 통해 많은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흔히 말하는 학습 곡선의 가파른 상승이 나타나는 이 단계에서 초심자는 공부에 재미를 붙이게 되고 열정적으로 학습에 매진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같은 향상의 즐거움이 무한정 지속될 수만 있었다면, 어떤 분야이던 간에 중도에 포기하는 일은 생기지 않겠지요. 하지만 경험적으로 볼 때 눈에 띄는 발전이 있고 난 이후에는 어김없이 슬럼프가 찾아..

컬럼/직장인 스터디 2017. 6. 23. 08:1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후원하기>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