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1284)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는? (4)
    • 2023년 9월호(167호) (16)
    • 2023년 8월호(166호) (17)
    • 2023년 7월호(165호) (16)
    • 2023년 6월호(164호) (18)
    • 2023년 5월호(163호) (17)
    • 2023년 4월호(162호) (18)
    • 2023년 3월호(161호) (16)
    • 2023년 2월호(160호) (16)
    • 2023년 1월호(159호) (20)
    • 2022년 12월호(158호) (18)
    • 2022년 11월호(157호) (19)
    • 2022년 10월호(156호) (15)
    • 2022년 9월호(155호) (15)
    • 2022년 8월호(154호) (13)
    • 2022년 7월호(153호) (13)
    • 2022년 6월호(152호) (24)
    • 2022년 5월호(151호) (14)
    • 2022년 4월호(150호) (14)
    • 2022년 3월호(149호) (15)
    • 2022년 2월호(148호) (14)
    • 2022년 1월호(147호) (16)
    • 2021년 12월호(146호) (16)
    • 2021년 11월호(145호) (16)
    • 2021년 10월호(144호) (14)
    • 2021년 9월호(143호) (16)
    • 2021년 8월호(142호) (13)
    • 2021년 7월호(141호) (16)
    • 2021년 6월호(140호) (12)
    • 2021년 5월호(139호) (14)
    • 2021년 4월호(138호) (16)
    • 2021년 3월호(137호) (16)
    • 2021년 2월호(136호) (14)
    • 2021년 1월호(135호) (15)
    • 2020년 12월호(134호) (15)
    • 2020년 11월호(133호) (18)
    • 2020년 10월호(132호) (14)
    • 2020년 9월호(131호) (14)
    • 2020년 8월호(130호) (17)
    • 2020년 7월호(129호) (15)
    • 2020년 6월호(128호) (15)
    • 2020년 5월호(127호) (17)
    • 2020년 4월호(126호) (15)
    • 2020년 3월호(125호) (15)
    • 2020년 2월호(124호) (14)
    • 2020년 1월호(123호) (16)
    • 2019년 12월호(122호) (16)
    • 2019년 11월호(121호) (14)
    • 2019년 10월호(120호) (19)
    • 2019년 9월호(119호) (15)
    • 2019년 8월호(118호) (16)
    • 2019년 7월호(117호) (12)
    • 2019년 6월호(116호) (17)
    • 2019년 5월호(115호) (17)
    • 2019년 4월호 (114호) (16)
    • 2019년 3월호(제113호) (17)
    • 2019년 2월호(제112호) (16)
    • 2019년 1월호(제111호) (15)
    • 2018년 12월호(제110호) (16)
    • 2018년 11월호(제109호) (15)
    • 2018년 10월호(제108호) (17)
    • 2018년 9월호(제107호) (15)
    • 2018년 8월호(제106호) (15)
    • 2018년 7월호(제105호) (15)
    • 2018년 6월호(제104호) (15)
    • 2018년 5월호(제103호) (14)
    • 2018년 4월호(제 102호) (12)
    • 2018년 3월호(제 101호) (15)
    • 2018년 2월호(제100호) (16)
    • 삶의 스토리 (22)
    • 기업 (30)
      • 가비양(커피 칼럼 & 스토리) (12)
      • 참든건강과학 (4)
      • 창조기업들 (14)
    • 인문학 (14)
      • 황혼과 여명 (12)
      • 영화 비평 (2)
    • 컬럼 (17)
      • 직장인 스터디 (4)
      •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 (11)
      • 성기원의 심리성장 (2)
    • 교육 (19)
      • 크래들코리아 교육현장칼럼 (11)
    • 여행 (31)
      •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4)
      • 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5)
    • 예술 (32)
      • Retrospective & Prospective.. (8)
      • 미술 (5)
      • 음악 (13)
      • 방송 & 미디어 (2)
      • 디자이너 (1)
      • 예술인 (3)
    • 환경 (16)
      • 한영식의 생물콘서트 (3)
      • 숲해설사 이야기 (10)
      • 최승호의 환경칼럼 (3)
    • 법률 (2)
      • 황경태 변호사의 법률칼럼 (2)
    • 금융 (4)
      • 금융스토리 (4)
    • 문학 (8)
      • 김단혜 에세이 (3)
      • 시 (5)
    • 뇌과학 & IT (8)
      • IT & 뇌과학 스토리 (5)
    • 농업 (2)
    • 세계문화 (5)
    • 역사 (7)
      • 조경철의 역사칼럼 (5)
    • 책 (1)

검색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2022년 3월호(149호)

  • 스마트 팜부터 베란다 텃밭까지, 씨앗부터 수확까지 농사에 관심 있는 분들 파밍순으로 모이세요!

    2022.03.26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역사의 두 파도 속에 삼키어진 천재 음악가 프로코피에프의 자화상 -‘피터와 늑대’(1936)를 들으며

    2022.03.26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사치 좀 하시나요?

    2022.03.26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그린택소노미 & 재생에너지 100%(RE100)

    2022.03.26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엄마, 병아리를 키우면 안 될까요?

    2022.03.26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완벽주의자들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하여

    2022.03.23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라이따이한 사랑

    2022.03.23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나도 건물 그려보고 싶다!!”

    2022.03.23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스마트 팜부터 베란다 텃밭까지, 씨앗부터 수확까지 농사에 관심 있는 분들 파밍순으로 모이세요!

[농사 커뮤니티 스토리] 스마트 팜부터 베란다 텃밭까지, 씨앗부터 수확까지 농사에 관심 있는 분들 파밍순으로 모이세요! ‘파밍순’의 시작 국제학을 전공하고 서울의 무역협회에서 일을 하다가 농업에 관심이 생겨 충청도의 농업회사로 이직하고 내려 온지 이제 2년차가 되었습니다. 다니는 회사는 종자를 판매하는 농업회사이지만, 파밍순은 회사와 상관없이 농업을 잘 몰라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며 운영해보려고 만든 커뮤니티 계정입니다. 저와 동료 모두 농업에 관심을 가지고 농업회사에 들어왔는데 전공이 아니다보니 배울 것도 많고 공부할 것도 많더라고요. 처음에는 농업인들에게 초점을 맞췄습니다. 농사일이 너무 바쁘니 농사 소식이나 바뀌는 제도 같은 것들을 모르실 것 같아 그날그날 나오는 농사 뉴스나 소식들을 올렸던 것이 시..

2022년 3월호(149호) 2022. 3. 26. 15:02

역사의 두 파도 속에 삼키어진 천재 음악가 프로코피에프의 자화상 -‘피터와 늑대’(1936)를 들으며

역사의 두 파도 속에 삼키어진 천재 음악가 프로코피에프의 자화상 -‘피터와 늑대’(1936)를 들으며 혹시‘제 발로 찾아온 사슴’이라는 이솝우화를 읽어 본적이 있나요? 사냥꾼에게 쫓겨 다급해진 사슴이 자유롭게 숨을 수 있는 산이 아닌, 외양간으로 숨어들었다가 집주인에게 손쉽게 잡혀버린 이야기죠. 외양간의 황소가 빨리 산으로 도망가라고 주의를 주었음에도 여물까지 얻어먹다 시간을 놓쳐 버렸으니, 제 무덤을 판 어리석은 사슴이 아닐 수 없습니다. 오늘은 이 사슴과 같은 불쌍한 신세가 되어버린 한 천재적인 음악가의 작품 하나를 소개하려고 하는데, 바로 소련의 작곡가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Sergei Prokofiev; 1891~1953)의 ‘피터와 늑대’입니다. 자유의 기회를 걷어 찬 프로코피예프 1917년, ..

2022년 3월호(149호) 2022. 3. 26. 14:49

사치 좀 하시나요?

사치 좀 하시나요? 고래가 물속에서 사는 것보다 인간은 ○○에서 더 오랜 시간 머문다! 국립환경과학원이 발표한‘국민 일일 시간활동 양상에 따른 개인 노출평가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은 하루 평균 21시간을 실내에서 보낸다고 합니다. 고래들이 물속에서 지내는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우리는 인공구조물 안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지요. 최근 중국발 미세 먼지와 코로나19로 인해 실내 체류 시간은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화를 거쳐 정보화 기술의 가속화로 인간이 만든 또 다른 가상공간인 메타버스로 우리 자신을 내몰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연효과는 용량 의존적 공간이란 것은 우리 몸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을 오감으로 느끼고 경험하고 소통하는 물리적인 장소입니다. 하지만, 현대인은 자연과의 감각적인 접촉을..

2022년 3월호(149호) 2022. 3. 26. 14:36

그린택소노미 & 재생에너지 100%(RE100)

[최승호의 에너지와 환경 3] 그린택소노미 & 재생에너지 100%(RE100) 그린택소노미(GreenTaxonomy) 메타버스와 AI, 자율주행 등 첨단 산업의 원천은 바로 전기인데요, 이런 전기가 기반이 되는 21세기에 전력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원전이 다시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한국의 문제만이 아니라 전 세계의 문제입니다. 그런데 환경문제에 유달리 민감한 유럽에서 먼저 안타를 치고 나갔습니다. EU 행정부 역할을 하는 EU 집행위원회는 지난 2022년 2월 2일(현지 시간) 원자력과 천연가스 발전 투자를 친환경 활동으로 분류하는 ‘지속 가능한 금융 녹색분류체계(Taxonomy)’ 즉 ‘EU택소노미’를 확정, 발의했습니다. 이는 녹색산업을 말하는 그린(Green)과 분류학을 뜻하는 택소노미(Tax..

2022년 3월호(149호) 2022. 3. 26. 14:22

엄마, 병아리를 키우면 안 될까요?

엄마, 병아리를 키우면 안 될까요? 유진이가 초등학교 3학년 때의 일이다. 새 학기가 시작될 무렵이었다. 학교에서 돌아오면서 손에 노랑 병아리 한 마리를 들고 왔다. 우리도 어릴 적에 학교 앞에서 노랑 병아리를 보곤 했는데, 아직도 그런 일이 있나 싶어 의아해 하면서 “병아리는 왜 데리고 왔어?”라고 큰 목소리로 말했다. 학교 앞에서 샀던 병아리를 키워 닭이 되었다는 이야기는 한 번도 들어 본 적이 없었다. 작은 두 손으로 병아리를 조심스레 싸안고 온 유진이를 보자마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병아리 따위는 관심도 없다는 듯이 느껴지는 무심한 말투와 목소리 톤이 좀 높아진 소리에 유진이가 더 놀라서 울음을 터트리고 말았다. 사실은 작은 병아리라고 해서 관심이 없는 것이 아니라 희미하게 꺼져가는 촛불과 같..

2022년 3월호(149호) 2022. 3. 26. 14:11

완벽주의자들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하여

[손미정의 문화·예술 뒷이야기 3] 완벽주의자들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하여 세계적인 교향악단들의 내한 공연을 보거나 유명 음악가들의 평전을 보면 자신이 추구하는 음악에 있어서 ‘완벽’을 추구했던 음악가들이 많았다. 20세기 거장들의 음악 이야기를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지휘자 ‘카라얀’인데, 그의 화려했던 예술 인생과 대비되는 또 하나의 인물은 ‘세르지우 첼리비다케’(Sergiu Cellibidache)이다. 첼리비다케는 카라얀과 같은 시대, 같은 나라에서 활동하면서도 그와는 달리 철저히 상업성을 거부했던 음악가였다. 카라얀은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와 상업화에 성공한 입지전적인 인물로 부와 명예를 함께 움켜쥔 화려한 음악 인생을 누린 반면 첼리비다케는 ‘지휘계의 기인 ’혹은‘이단자’로 불렸다. 토스..

2022년 3월호(149호) 2022. 3. 23. 17:36

라이따이한 사랑

[다문화, 너와 나의 이웃이야기 1] 라이따이한 사랑 ‘라이따이한’은 대한민국이 1964년부터 참전한 베트남 전쟁에서 대한민국 국군 병사와 현지 베트남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2세를 뜻합니다. 한국군의 철수와 그 후의 남베트남 정부의 붕괴 속에서 라이따이한은 ‘적군의 아이’로 차별받았습니다. 단어 ‘라이따이한’에서 ‘라이’는 베트남에서 경멸의 의미를 포함한 ‘잡종’을 뜻하며, ‘따이한’은 ‘대한’을 베트남어식으로 읽은 것입니다. 전쟁은 우리에게 많은 이야기를 전해줍니다. 인간에 대한 절망을 안겨주기도 하지만 간혹 그 속에서 진정으로 아름다운 이야기들을 탄생시키기도 합니다. 오늘은 그 전쟁 속의 아름다운 이야기와 다문화 사랑을 나누어보고자 합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과 중도입국청소년들이 다니는 토요학교에 한 ..

2022년 3월호(149호) 2022. 3. 23. 12:24

“나도 건물 그려보고 싶다!!”

[선에 담긴 당신의 마음 이야기 11] “나도 건물 그려보고 싶다!!” 그림을 배우다 보면 다양한 소재를 그려보게 됩니다. 그 중 그림을 포기할까 하게 만든 것이 바로 건물이었습니다. 공간 지각력이 부족한 편이라 주차를 배울 때도 애를 먹었던 사람이기에 시각에 따라 달라지는 건물의 두께, 거리에 대한 이해가 너무 어려웠습니다. 결국 두세 번 정도 건물을 그리고 실망하는 마음에 더 이상 그리지 않았습니다. 몇 시간 동안 힘겹게 그린 그림이 만족스럽지 않으니 저의 부족함과 마주하고 있는 것 같았거든요. 노력하는 동안 행복하지 않은 작업을 피해버리고 싶었는지 모릅니다. 대신 자연물을 계속 그렸습니다. 두 번의 작은 전시회를 열면서 저는 두 번 모두 꽃과 나비 등 자연물을 소재로 그림을 그렸습니다. 워낙 꽃을 ..

2022년 3월호(149호) 2022. 3. 23. 12:2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후원하기>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