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1284)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는? (4)
    • 2023년 9월호(167호) (16)
    • 2023년 8월호(166호) (17)
    • 2023년 7월호(165호) (16)
    • 2023년 6월호(164호) (18)
    • 2023년 5월호(163호) (17)
    • 2023년 4월호(162호) (18)
    • 2023년 3월호(161호) (16)
    • 2023년 2월호(160호) (16)
    • 2023년 1월호(159호) (20)
    • 2022년 12월호(158호) (18)
    • 2022년 11월호(157호) (19)
    • 2022년 10월호(156호) (15)
    • 2022년 9월호(155호) (15)
    • 2022년 8월호(154호) (13)
    • 2022년 7월호(153호) (13)
    • 2022년 6월호(152호) (24)
    • 2022년 5월호(151호) (14)
    • 2022년 4월호(150호) (14)
    • 2022년 3월호(149호) (15)
    • 2022년 2월호(148호) (14)
    • 2022년 1월호(147호) (16)
    • 2021년 12월호(146호) (16)
    • 2021년 11월호(145호) (16)
    • 2021년 10월호(144호) (14)
    • 2021년 9월호(143호) (16)
    • 2021년 8월호(142호) (13)
    • 2021년 7월호(141호) (16)
    • 2021년 6월호(140호) (12)
    • 2021년 5월호(139호) (14)
    • 2021년 4월호(138호) (16)
    • 2021년 3월호(137호) (16)
    • 2021년 2월호(136호) (14)
    • 2021년 1월호(135호) (15)
    • 2020년 12월호(134호) (15)
    • 2020년 11월호(133호) (18)
    • 2020년 10월호(132호) (14)
    • 2020년 9월호(131호) (14)
    • 2020년 8월호(130호) (17)
    • 2020년 7월호(129호) (15)
    • 2020년 6월호(128호) (15)
    • 2020년 5월호(127호) (17)
    • 2020년 4월호(126호) (15)
    • 2020년 3월호(125호) (15)
    • 2020년 2월호(124호) (14)
    • 2020년 1월호(123호) (16)
    • 2019년 12월호(122호) (16)
    • 2019년 11월호(121호) (14)
    • 2019년 10월호(120호) (19)
    • 2019년 9월호(119호) (15)
    • 2019년 8월호(118호) (16)
    • 2019년 7월호(117호) (12)
    • 2019년 6월호(116호) (17)
    • 2019년 5월호(115호) (17)
    • 2019년 4월호 (114호) (16)
    • 2019년 3월호(제113호) (17)
    • 2019년 2월호(제112호) (16)
    • 2019년 1월호(제111호) (15)
    • 2018년 12월호(제110호) (16)
    • 2018년 11월호(제109호) (15)
    • 2018년 10월호(제108호) (17)
    • 2018년 9월호(제107호) (15)
    • 2018년 8월호(제106호) (15)
    • 2018년 7월호(제105호) (15)
    • 2018년 6월호(제104호) (15)
    • 2018년 5월호(제103호) (14)
    • 2018년 4월호(제 102호) (12)
    • 2018년 3월호(제 101호) (15)
    • 2018년 2월호(제100호) (16)
    • 삶의 스토리 (22)
    • 기업 (30)
      • 가비양(커피 칼럼 & 스토리) (12)
      • 참든건강과학 (4)
      • 창조기업들 (14)
    • 인문학 (14)
      • 황혼과 여명 (12)
      • 영화 비평 (2)
    • 컬럼 (17)
      • 직장인 스터디 (4)
      •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 (11)
      • 성기원의 심리성장 (2)
    • 교육 (19)
      • 크래들코리아 교육현장칼럼 (11)
    • 여행 (31)
      •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4)
      • 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5)
    • 예술 (32)
      • Retrospective & Prospective.. (8)
      • 미술 (5)
      • 음악 (13)
      • 방송 & 미디어 (2)
      • 디자이너 (1)
      • 예술인 (3)
    • 환경 (16)
      • 한영식의 생물콘서트 (3)
      • 숲해설사 이야기 (10)
      • 최승호의 환경칼럼 (3)
    • 법률 (2)
      • 황경태 변호사의 법률칼럼 (2)
    • 금융 (4)
      • 금융스토리 (4)
    • 문학 (8)
      • 김단혜 에세이 (3)
      • 시 (5)
    • 뇌과학 & IT (8)
      • IT & 뇌과학 스토리 (5)
    • 농업 (2)
    • 세계문화 (5)
    • 역사 (7)
      • 조경철의 역사칼럼 (5)
    • 책 (1)

검색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2023년 4월호(162호)

  • 하 늘

    2023.12.29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중국인의 위험한 돼지사랑?

    2023.12.29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스미싱에 스매싱 당한 날

    2023.12.29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스티로폼 카빙 ‘영원한 생명력’을 불어 넣다

    2023.12.24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여보, 부모님 방에 전등 바꿔드려야겠어요.”

    2023.12.24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콩알 하나

    2023.12.24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오늘도 모토를 탔다 키갈리의 이동수단

    2023.12.24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연진아, 공연장에서는 말이야…

    2023.12.24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하 늘

하 늘 예전 학교 선생님에게 “부모님께 가장 최근에 본 하늘이 언제였는지 물어보세요”라는 숙제를 받아본 적이 있다. 집에 돌아가 부모님께 여쭤보았다. 돌아온 대답은 “언제인지 잘 기억이 안 난다”였다. 다음날 선생님께서 “하늘을 언제 본 지 잘 기억이 안 난다고 하신 부모님들은 바쁜 일상에 치여서 여유가 없어 하늘을 볼 시간이 없으신 것일 수도 있다”하셨다. 그 말을 들은 순간 부모님께 죄송스러운 마음이 들었다. 오늘은 달이 예쁘게 떴다는 말을 듣고 우연히 하늘을 보면서 나도 언제 하늘을 마지막으로 보았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 또한 그동안 여유가 없었나보다. 하늘을 잠깐 올려다보는 건 아주 작고 사소한 일로 크게 에너지를 써야하는 일은 아닌데 하늘을 볼 여유조차 없다니. 사실 시간적인 여유가 아니라..

2023년 4월호(162호) 2023. 12. 29. 14:57

중국인의 위험한 돼지사랑?

중국인의 위험한 돼지사랑? 한국인에게 그래도 고기라고 하면 한우인 ‘소고기’를 알아주고, 가장 귀한 음식 중에 하나로 여깁니다. 어려서 명절에 친척 어르신 집을 방문할 때면, 평소 물건도 잘 사지 않는 아버지가 정육점에 들러 주인장에게 좋은 부위로 달라고 말까지 덧붙이며, 신경을 써서 정성껏 사가지고 갔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이렇게 한국인이 소고기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과는 달리 중국에서는 오히려 돼지고기를 더 좋아하고,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중국에서 고기라고 하면 소고기가 아니라 ‘돼지고기’를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중국, 돼지고기와 식량이 천하를 안정시킨다?! 중국인들이 돼지고기를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저량안천하(猪糧安天下)’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즉 돼지고기와 식량이 천하를 안..

2023년 4월호(162호) 2023. 12. 29. 14:55

스미싱에 스매싱 당한 날

스미싱에 스매싱 당한 날 미끼 ‘엄마~ 나 폰 액정 깨져서 수리 맡기고 임시번호로 문자하고 있어요. 답장 주세요.’ 이 문자 하나로 모든 일은 시작되었다. “으잉? 이게 뭐야? 조심 좀 하지. 얘는 또~~ 지난달에 폰 떨어뜨려서 수리하더니 왜 또 고장 냈대” 그렇게 주고받기 시작한 문자. 고장 난 폰을 수리하는데 드는 보험비를 내 통장으로 대신 청구하기 위해 나의 통장 번호와 비밀번호, 그리고 신분증이 필요하단다. 컴퓨터를 전공한 딸이라 그런지, 평소에도 기계나 인터넷과 관련된 것들은 물어보면 워낙 알아서 다 챙기고 척척 박사처럼 해주니, 이번에도 어련히 알아서 잘 하겠거니 하고 방심한 채 요구하는 정보는 다 불러주고 신분증도 사진 찍어서 보냈다. 내 스마트폰에 설치하라는 것도 다 설치하고… ‘엄마 폰으..

2023년 4월호(162호) 2023. 12. 29. 14:54

스티로폼 카빙 ‘영원한 생명력’을 불어 넣다

[곽명숙 명장의 카빙스토리 4] 스티로폼 카빙 ‘영원한 생명력’ 을 불어 넣다 저처럼 푸드카빙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을 다른 사람들은 뭐라고 할까요? 푸드카빙이 무엇인지를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지 않기에 농수산물 시장에 카빙용 재료를 구입하러 가면 상인 분들은 저를 보고 예술 하시는 분 오셨다고 합니다. 그나마 푸드카빙이 뭔지 아는 분들은 푸드카빙 전문가, 푸드아티스트, 식품조각가, 과일공예가, 식재료예술가 등으로 불러주시죠. 저는 다른 분들께 저를 소개 할 땐 ‘식재료에 생명을 불어 넣는 마술사!’로 소개한답니다. 하지만 이러한 마술사들도 해결하지 못하는 일이 있는데요. 그건 바로 시간이 경과하면서 수분이 많은 과일이나 야채로 만든 작품들이 형태를 잃어가는 것이랍니다. 즉 작품이 상하면 버려야 하는 순..

2023년 4월호(162호) 2023. 12. 24. 19:28

“여보, 부모님 방에 전등 바꿔드려야겠어요.”

[공간과 빛과 인간시리즈 1] “여보, 부모님 방에 전등 바꿔드려야겠어요.” 인간과 영향을 주고받는 존재로서 공간인식 “인간은 환경-공간을 만들고, 동시에 자신이 만든 공간-환경에 지배를 받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공간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수동적인 존재로가 아니라, ‘나’라는 존재를 형성하고 빚어내는 적극적 존재라는 것이죠. 점잖은 사장도 예비군 군복만 입으면 본능에 충실해져 노상방뇨를 거리낌 없이 하는 것을 우리는 쉽게 보게 되는데, 옷 하나 바뀐 것으로 생각과 행동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태어나서 자라고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집이나 사무실 공간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얼마나 클까요? 더군다나 북미와 유럽에서는 90%가 넘는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으니 집과 사무실 같은 공간을..

2023년 4월호(162호) 2023. 12. 24. 19:24

콩알 하나

콩알 하나 - 김준태 누가 흘렸을까 막내딸을 찾아가는 다 쭈그러진 시골 할머니의 구멍난 보따리에서 빠져 떨어졌을까 역전驛前광장 아스팔트 위에 밟히며 뒹구는 파아란 콩알 하나 나는 그 엄청난 생명을 집어 들어 도회지 밖으로 나가 강 건너 밭 이랑에 깊숙이 깊숙이 심어 주었다 그때 사방 팔방에서 저녁 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해설 하찮고 관심을 두지 않을 너무나 작은 생명에 소망을 두는 삶은 인간보다 노을이 시퍼런 눈으로 관찰하며 격려한다. 인간과의 교감은 그 할머니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될 수 있다. 막내딸을 찾아가며 보따리 보따리 싸 들고 가지만, 헐거운 매듭으로 삐져나온 아주 작은 생명을 섬세히 이해하는 마음.

2023년 4월호(162호) 2023. 12. 24. 19:20

오늘도 모토를 탔다 키갈리의 이동수단

오늘도 모토를 탔다 키갈리의 이동수단 르완다 이곳에서의 주된 교통수단은 오토바이(모토)다. 버스와 택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둘을 선택하기에는 리스크가 크다. 내가 사는 키니냐섹터에서 중심지인 키갈리하이츠로 가는 경우라면 버스는 250프랑이고, 모토는 1000프랑, 택시는 대략 6000프랑이 나온다. 거리로 따지면 5~6킬로미터의 거리다. 요금이 이렇게 현격하게 차이가 나니 웬만한 경우가 아니고는 모토를 탄다. 아주 특별하게 택시를 타는 경우는 시내에서 장을 보고서 3~4명이 같이 집으로 들어오는 때에라야 용납이 된다. 우리 물가와 비교하면 얼마 안 되는 돈이지만 여기 물가로 치면 상대적으로 큰 액수라서 자연스럽게 택시를 멀리한다. 한 번은 좀 여유롭게 시내에 나갈 일이 생겨서 버스를 이용했다. 우리..

2023년 4월호(162호) 2023. 12. 24. 19:17

연진아, 공연장에서는 말이야…

연진아, 공연장에서는 말이야… 직장이 공연장이다 보니 보통은 퇴근 후 여러 공연장을 찾아가서 공연을 본다. 공연을 본다는 건 시간, 돈, 체력을 투자해야 하는 일이다. 일부러 찾아가서 공연을 보았는데 기대에 못 미치거나 몰입을 방해하는 분위기가 생기면 그날 저녁시간을 허비한 것 같아서 속상하다. 오죽하면 ‘관크’라는 말이 생겼겠는가? 관크는 ‘관객 크리티컬’의 줄임말로, ‘공연 관람 중 관객의 관람을 방해하는 모든 행위를 이르는 말’이다. 원래 크리티컬(critical)은 온라인 게임에서 상대에게 결정적인 피해를 입힐 때 쓰던 말이었는데, ‘관객’이란 단어와 결합해 ‘관크’라는 말이 생겼다. 공연 애호가들끼리 모이면 각자 자신이 경험했던 관크에 대해 이야기하곤 한다. 듣다보면 ‘정말 공연장에서 그런 일이..

2023년 4월호(162호) 2023. 12. 24. 19:1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후원하기>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