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1284)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는? (4)
    • 2023년 9월호(167호) (16)
    • 2023년 8월호(166호) (17)
    • 2023년 7월호(165호) (16)
    • 2023년 6월호(164호) (18)
    • 2023년 5월호(163호) (17)
    • 2023년 4월호(162호) (18)
    • 2023년 3월호(161호) (16)
    • 2023년 2월호(160호) (16)
    • 2023년 1월호(159호) (20)
    • 2022년 12월호(158호) (18)
    • 2022년 11월호(157호) (19)
    • 2022년 10월호(156호) (15)
    • 2022년 9월호(155호) (15)
    • 2022년 8월호(154호) (13)
    • 2022년 7월호(153호) (13)
    • 2022년 6월호(152호) (24)
    • 2022년 5월호(151호) (14)
    • 2022년 4월호(150호) (14)
    • 2022년 3월호(149호) (15)
    • 2022년 2월호(148호) (14)
    • 2022년 1월호(147호) (16)
    • 2021년 12월호(146호) (16)
    • 2021년 11월호(145호) (16)
    • 2021년 10월호(144호) (14)
    • 2021년 9월호(143호) (16)
    • 2021년 8월호(142호) (13)
    • 2021년 7월호(141호) (16)
    • 2021년 6월호(140호) (12)
    • 2021년 5월호(139호) (14)
    • 2021년 4월호(138호) (16)
    • 2021년 3월호(137호) (16)
    • 2021년 2월호(136호) (14)
    • 2021년 1월호(135호) (15)
    • 2020년 12월호(134호) (15)
    • 2020년 11월호(133호) (18)
    • 2020년 10월호(132호) (14)
    • 2020년 9월호(131호) (14)
    • 2020년 8월호(130호) (17)
    • 2020년 7월호(129호) (15)
    • 2020년 6월호(128호) (15)
    • 2020년 5월호(127호) (17)
    • 2020년 4월호(126호) (15)
    • 2020년 3월호(125호) (15)
    • 2020년 2월호(124호) (14)
    • 2020년 1월호(123호) (16)
    • 2019년 12월호(122호) (16)
    • 2019년 11월호(121호) (14)
    • 2019년 10월호(120호) (19)
    • 2019년 9월호(119호) (15)
    • 2019년 8월호(118호) (16)
    • 2019년 7월호(117호) (12)
    • 2019년 6월호(116호) (17)
    • 2019년 5월호(115호) (17)
    • 2019년 4월호 (114호) (16)
    • 2019년 3월호(제113호) (17)
    • 2019년 2월호(제112호) (16)
    • 2019년 1월호(제111호) (15)
    • 2018년 12월호(제110호) (16)
    • 2018년 11월호(제109호) (15)
    • 2018년 10월호(제108호) (17)
    • 2018년 9월호(제107호) (15)
    • 2018년 8월호(제106호) (15)
    • 2018년 7월호(제105호) (15)
    • 2018년 6월호(제104호) (15)
    • 2018년 5월호(제103호) (14)
    • 2018년 4월호(제 102호) (12)
    • 2018년 3월호(제 101호) (15)
    • 2018년 2월호(제100호) (16)
    • 삶의 스토리 (22)
    • 기업 (30)
      • 가비양(커피 칼럼 & 스토리) (12)
      • 참든건강과학 (4)
      • 창조기업들 (14)
    • 인문학 (14)
      • 황혼과 여명 (12)
      • 영화 비평 (2)
    • 컬럼 (17)
      • 직장인 스터디 (4)
      •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 (11)
      • 성기원의 심리성장 (2)
    • 교육 (19)
      • 크래들코리아 교육현장칼럼 (11)
    • 여행 (31)
      •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4)
      • 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5)
    • 예술 (32)
      • Retrospective & Prospective.. (8)
      • 미술 (5)
      • 음악 (13)
      • 방송 & 미디어 (2)
      • 디자이너 (1)
      • 예술인 (3)
    • 환경 (16)
      • 한영식의 생물콘서트 (3)
      • 숲해설사 이야기 (10)
      • 최승호의 환경칼럼 (3)
    • 법률 (2)
      • 황경태 변호사의 법률칼럼 (2)
    • 금융 (4)
      • 금융스토리 (4)
    • 문학 (8)
      • 김단혜 에세이 (3)
      • 시 (5)
    • 뇌과학 & IT (8)
      • IT & 뇌과학 스토리 (5)
    • 농업 (2)
    • 세계문화 (5)
    • 역사 (7)
      • 조경철의 역사칼럼 (5)
    • 책 (1)

검색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여행

  • 샤넬라송이 추천하는 발렌타인데이 꽃 선물!

    2018.03.29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자연이 살아 숨쉬는 생명의 터, 초막골생태공원!

    2018.03.28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짧지만 소중한 한국에서의 기억들

    2017.12.30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미쓰비시 150년 역사

    2017.12.19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나를 소중히 생각하는 마음을 담아, 수선화 한 송이

    2017.09.28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아리타(有田)유전에서 날아온 편지

    2017.08.14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다섯 번째이지만 처음 만난 한국

    2017.08.03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벚꽃 엔딩, 동경의 봄

    2017.07.31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샤넬라송이 추천하는 발렌타인데이 꽃 선물!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8]샤넬라송이 추천하는 발렌타인데이 꽃 선물! 달콤한 2월, 꽃을 찾는 이가 많아지는 때입니다. 바로 초콜릿과 꽃을 전하며 사랑을 표현하는 발렌타인데이가 있는 달이지요. 샤넬라는 어릴 적부터 유난히 발렌타인데이를 좋아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핑크색, 초콜릿, 장미꽃을 원없이 볼 수 있는 날이기 때문입니다. 해외에서 초등학교를 다녔던 저는 이민을 가고 맞은 첫 발렌타인데이를 잊을 수가 없습니다. 아직 많은 친구들을 사귀지 못 했을 때, 같은 반 친구들 한 명 한 명으로부터 삐뚤빼뚤 서투른 글씨체로 ‘Happy Valentine’s Day’라고 적은 하트 모양 카드와 알록달록 예쁘기도 했던 사탕과 초콜릿을 가득 받았던 그날! 처음으로 외국에서 진심어린 환영을 받는 기분이었지요. 지금도 ..

여행/샤넬라송 플라워노트 2018. 3. 29. 09:30

자연이 살아 숨쉬는 생명의 터, 초막골생태공원!

[초막골생태공원을 찾아가다]자연이 살아 숨쉬는 생명의 터,초막골생태공원! 산본으로 이사온 지 5년 정도 되었을 때, 자전거도 못타던 제가 제주도 280km 자전거일주를 준비하기 위해 수리고등학교 뒤편으로 열심히 페달을 밟으며 연습했습니다. 그땐 포장도 안 된 자갈길에 흙먼지 날리며 지나갔었는데 언제부터인가 대규모로 공사가 진행되는가 싶더니 작년 7월, 떡하니 군포시 랜드마크처럼 탈바꿈 되어 들어선 것이 바로 ‘초막골생태공원’입니다. 그럼 자연, 배움, 공생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스토리를 담아 꾸며진 초막골생태공원의 이야기를 정등조 초대 생태공원과장을 통해 들어볼까요? 초막골생태공원의 시작 초막골생태공원을 조성할 때 제일 먼저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생명의 터’로 만들기 위해 고민하고 노력했습니다. 이 일대..

여행 2018. 3. 28. 09:30

짧지만 소중한 한국에서의 기억들

[한국체험기]짧지만 소중한 한국에서의 기억들 7개월 전 어느 추운 날, 전혀 새로운 문화를 경험하고자 하는 열망과 동시에, 새로운 환경 속에서 친구를 사귀고 언어와 문화, 새로운 규범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긴장감 속에 한국에 도착했습니다. 똑같은 것이 하나도 없어 보이는 수많은 사람들 속에 들어간다는 것은 마치 미지의 바다를 항해하는 것과 같았습니다. 여기에 한 번도 해 본적이 없는 유치원, 초등학생, 고등학생 및 성인에 이르는 사람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것은 내가 헤쳐 나가야 할 매우 중요한 도전이었습니다. 서울에서의 첫 번째 밤은 오류동 길가에 있는 작은 음식점에서 맞았습니다. 거기서 친구와 함께 칼국수라는 첫 한국음식을 먹고, 한국사람들이 하는 것처럼 커피숍에 가서 따뜻한 음료를 마시며 대화를 나누었..

여행 2017. 12. 30. 19:15

미쓰비시 150년 역사

[일본여행 사후연구 - 기업 역사]미쓰비시 150년 역사 한국인들이 일본 기업 중에서 부정적 이미지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 ‘미쓰비시’일 겁니다. 한국의 유명 여자연예인이 미쓰비시 계열사의 제품 광고를 거부했다는 것부터 시작해, 최근에 이슈가 되었던 ‘군함도’영화를 통해 부각된 강제노역의 전범기업으로 이 회사는 한국인들에게 깊이 각인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미쓰비시 150년 역사 가운데 우리가 아는 부분은 상당히 제한적입니다. 그러기에 일본의 대표적 기업인 미쓰비시 기업의 150년 역사 전체를 살펴보는 것은 일본기업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업일 것입니다. 이와사키 야타로 (출처 : Wikipediadia) 1. 메이지유신과 함께 출발한 미쓰비시(1870~1912)1.1. 창업자, 이와사키 야타..

여행/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017. 12. 19. 13:19

나를 소중히 생각하는 마음을 담아, 수선화 한 송이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9] 나를 소중히 생각하는 마음을 담아, 수선화 한 송이 꽃이 피는 계절, 봄. 그 시작을 알리는 3월이 드디어 왔군요. 새싹들이 피어나는 봄을 생각하면 여러분은 어떤 꽃을 떠올리나요? 개나리, 진달래, 그리고 조금 더 지나면 하얗게 만개할 벚꽃 등을 생각하시겠지요. 꽃 시장을 가득 메우는 봄 꽃 중에서도 제가 가장 좋아하는 꽃은 ‘수선화’입니다. 유난히 몸도 마음도 힘들었던 어느 하루, 새벽 꽃 시장을 들러 싱그러운 꽃들을 쭉 보다가 예뻐 보이는 아이를 한 단 골랐는데, 그 꽃이 바로 네덜란드산 수선화였습니다. 크림색 겉겹 안에 보기만 해도 상큼한 오렌지 빛 봉오리를 품고 있는 수선화. 신문지로 돌돌 쌓은 꽃다발 속에 코를 파묻고 향을 들이켜니, 절로 근심 걱정이 씻기더군요. 우연..

여행/샤넬라송 플라워노트 2017. 9. 28. 09:00

아리타(有田)유전에서 날아온 편지

[일본어판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를 읽고] 아리타(有田)유전에서 날아온 편지 안녕하세요. 저는 사가현 아리타에서 큐슈에 공동체 여행을 오신 분들을 가이드 했었던 유코입니다. 일본어로 번역해서 출판한 여러분의 신문을 보고 진솔하다고 느꼈습니다. 여러분이 이번 문화 여행 전에 ‘사전 조사’라는 공부를 하고 일본에 오셨다는 사실이 정말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번 신문에는 역사를 좋아하는 저도 모르는 것이 씌어 있어서 더 감동적이었지요. ‘과연 내가 외국을 방문했을 때, 이렇게 방문국에 대해 많이 공부했을까?’라고 생각했지요. 그러면서 한편으로 여러분에게 아리타의 더 많은 장소를 소개하고 싶었는데, 그것을 못해 드려서 죄송합니다. 여러분과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으면서 저에게는 우리 일본인이 당연하다고 ..

여행/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017. 8. 14. 08:30

다섯 번째이지만 처음 만난 한국

[한국 방문기] 다섯 번째이지만 처음 만난 한국 홀로 여권을 쥐고 한 여행은 처음이었습니다. 지금까지 저의 여행은 늘 여행사에서 알선해 준 패키지여행이 전부였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출발 전에도 갈까 말까? 많이 망설였어요. 특히 말이 통하지 않아 걱정했고, 더구나 행선지가 어디인지도 전혀 모르는 가운데, 76세라는 나이와 장마철 날씨에 컨디션 불량으로 건강이 괜찮을지... 하지만 단 3일이고, 무엇보다 여러분의 “우리 동네에 놀러 오세요~”하는 목소리와 미소들이 떠올랐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회는 두 번 다시 없을거야’라고 생각하며, 한국을 향한 비행기에 올랐지요. 드디어 인천 공항에 도착해 지혜씨와 동숙씨를 만났습니다. 사실 만나기 전까지 극도로 불안했지만, 만나는 순간 지금까지의 불안이 한 순간에 날..

여행/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017. 8. 3. 08:42

벚꽃 엔딩, 동경의 봄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10] 벚꽃 엔딩, 동경의 봄 벚꽃이 흐드러진 동경 골목길을 거닐어 보셨나요? 계절에 따라 색색들이 변하는 벚꽃들이 골목길 곳곳에 피어나는 바로 일본의 길 말입니다. 플로리스트 샤넬라는 지난 3월, 봄의 시작과 함께 생애 처음으로 일본 동경에 다녀왔습니다. 일본은 꽃을 업으로 삼고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 다녀와야 하는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정교한 손재주로 참 아기자기하게 꽃을 가꿔내는 젠(Zen)문화, 실물을 축소한 분재술(bonsai) 등 오랜 역사 가운데 발달된 꽃문화를 가지고 있어, 그 속을 들여다보는 재미가 쏠쏠하기 때문이랍니다. 특히 일본 특유의 절대 과하지 않은 스타일링과 단 한 송이의 꽃이라도 그만의 존재감을 가장 극대화하는 연출 기법은 사람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기에 ..

여행/샤넬라송 플라워노트 2017. 7. 31. 10:4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후원하기>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