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1284)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는? (4)
    • 2023년 9월호(167호) (16)
    • 2023년 8월호(166호) (17)
    • 2023년 7월호(165호) (16)
    • 2023년 6월호(164호) (18)
    • 2023년 5월호(163호) (17)
    • 2023년 4월호(162호) (18)
    • 2023년 3월호(161호) (16)
    • 2023년 2월호(160호) (16)
    • 2023년 1월호(159호) (20)
    • 2022년 12월호(158호) (18)
    • 2022년 11월호(157호) (19)
    • 2022년 10월호(156호) (15)
    • 2022년 9월호(155호) (15)
    • 2022년 8월호(154호) (13)
    • 2022년 7월호(153호) (13)
    • 2022년 6월호(152호) (24)
    • 2022년 5월호(151호) (14)
    • 2022년 4월호(150호) (14)
    • 2022년 3월호(149호) (15)
    • 2022년 2월호(148호) (14)
    • 2022년 1월호(147호) (16)
    • 2021년 12월호(146호) (16)
    • 2021년 11월호(145호) (16)
    • 2021년 10월호(144호) (14)
    • 2021년 9월호(143호) (16)
    • 2021년 8월호(142호) (13)
    • 2021년 7월호(141호) (16)
    • 2021년 6월호(140호) (12)
    • 2021년 5월호(139호) (14)
    • 2021년 4월호(138호) (16)
    • 2021년 3월호(137호) (16)
    • 2021년 2월호(136호) (14)
    • 2021년 1월호(135호) (15)
    • 2020년 12월호(134호) (15)
    • 2020년 11월호(133호) (18)
    • 2020년 10월호(132호) (14)
    • 2020년 9월호(131호) (14)
    • 2020년 8월호(130호) (17)
    • 2020년 7월호(129호) (15)
    • 2020년 6월호(128호) (15)
    • 2020년 5월호(127호) (17)
    • 2020년 4월호(126호) (15)
    • 2020년 3월호(125호) (15)
    • 2020년 2월호(124호) (14)
    • 2020년 1월호(123호) (16)
    • 2019년 12월호(122호) (16)
    • 2019년 11월호(121호) (14)
    • 2019년 10월호(120호) (19)
    • 2019년 9월호(119호) (15)
    • 2019년 8월호(118호) (16)
    • 2019년 7월호(117호) (12)
    • 2019년 6월호(116호) (17)
    • 2019년 5월호(115호) (17)
    • 2019년 4월호 (114호) (16)
    • 2019년 3월호(제113호) (17)
    • 2019년 2월호(제112호) (16)
    • 2019년 1월호(제111호) (15)
    • 2018년 12월호(제110호) (16)
    • 2018년 11월호(제109호) (15)
    • 2018년 10월호(제108호) (17)
    • 2018년 9월호(제107호) (15)
    • 2018년 8월호(제106호) (15)
    • 2018년 7월호(제105호) (15)
    • 2018년 6월호(제104호) (15)
    • 2018년 5월호(제103호) (14)
    • 2018년 4월호(제 102호) (12)
    • 2018년 3월호(제 101호) (15)
    • 2018년 2월호(제100호) (16)
    • 삶의 스토리 (22)
    • 기업 (30)
      • 가비양(커피 칼럼 & 스토리) (12)
      • 참든건강과학 (4)
      • 창조기업들 (14)
    • 인문학 (14)
      • 황혼과 여명 (12)
      • 영화 비평 (2)
    • 컬럼 (17)
      • 직장인 스터디 (4)
      •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 (11)
      • 성기원의 심리성장 (2)
    • 교육 (19)
      • 크래들코리아 교육현장칼럼 (11)
    • 여행 (31)
      •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4)
      • 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5)
    • 예술 (32)
      • Retrospective & Prospective.. (8)
      • 미술 (5)
      • 음악 (13)
      • 방송 & 미디어 (2)
      • 디자이너 (1)
      • 예술인 (3)
    • 환경 (16)
      • 한영식의 생물콘서트 (3)
      • 숲해설사 이야기 (10)
      • 최승호의 환경칼럼 (3)
    • 법률 (2)
      • 황경태 변호사의 법률칼럼 (2)
    • 금융 (4)
      • 금융스토리 (4)
    • 문학 (8)
      • 김단혜 에세이 (3)
      • 시 (5)
    • 뇌과학 & IT (8)
      • IT & 뇌과학 스토리 (5)
    • 농업 (2)
    • 세계문화 (5)
    • 역사 (7)
      • 조경철의 역사칼럼 (5)
    • 책 (1)

검색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기업/참든건강과학

  • 황사·미세먼지 걱정 없이 모든 날이 좋았다

    2017.09.27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여름내 폭염과 장마로 지친 당신에게 <참든건강과학> 건강상담사가 전하는 건강이야기

    2017.09.09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음식에도 성질이 있다?! 나에게 맞는 성질을 가진 음식은?

    2017.07.18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현미수는 사랑을 싣고~

    2017.06.28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황사·미세먼지 걱정 없이 모든 날이 좋았다

[참든건강과학 스토리16] 황사·미세먼지 걱정 없이 모든 날이 좋았다 - 건강상담사가 전하는 봄철 건강이야기 아직 추위가 맴돌고 있기에, 우리는 3월이라는 말만 들어도 마음으로 봄을 느낍니다. 아이들은 본격적으로 새 학기를 시작하고, 새싹과 개구리들도 모습을 드러낼 거예요. 개나리, 진달래와 같은 봄꽃들로 온 세상이 채워지겠죠. 봄맞이 대청소를 계획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죠?! 창문을 모두 열어놓고 겨우내 쌓여있던 먼지를 털어내고, 따뜻한 봄 햇살로 가득 채우는 일이니까요.^^ 하지만 요샌 대청소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창문을 마음껏 열지 못하죠. 계절과 상관없이 기승을 부리는 황사와 미세먼지가 특히 봄철에 더욱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설렘 가득한 봄에 찾아온 불청객! 황사와 미세먼지는 어떻..

기업/참든건강과학 2017. 9. 27. 09:00

여름내 폭염과 장마로 지친 당신에게 <참든건강과학> 건강상담사가 전하는 건강이야기

[참든건강과학 스토리 19] 여름내 폭염과 장마로 지친 당신에게 건강상담사가 전하는 건강이야기 찜통같은 무더위도 주춤하게 만드는 9월입니다. 올해는 유독 폭염주의보, 폭염경보, 호우주의보, 호우경보 긴급재난문자를 많이 받았던 것 같습니다. 여름을 어떻게 이겨냈는가 싶게 힘겨웠던 날들이었죠. 여름내 무더위와 폭우로 기운 빠졌던 여러분께 건강상담사의 체력증진 건강이야기를 전합니다. 기운 팍팍 : 가벼운 운동으로 UP! 그동안 무더위로 인해 바깥활동을 쉽게 못했었는데,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 지금부터는 가벼운 운동을 하기에 딱 좋죠?! 가족과 함께하는 가벼운 산책, 요가, 조깅 등을 추천합니다. 운동을 통해 ‘엔도르핀’을 증가시켜 생활의 활력을 얻도록 하면 체력증진에도 도움이 되는 건 물론 스트레스를 해소..

기업/참든건강과학 2017. 9. 9. 08:36

음식에도 성질이 있다?! 나에게 맞는 성질을 가진 음식은?

[참든건강과학 스토리 18] 음식에도 성질이 있다?! 나에게 맞는 성질을 가진 음식은? - 건강상담사가 전하는 여름철 건강이야기 이르게 찾아온 여름 날씨가 지속되면서 자연스럽게 시원하고 차가운 음식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6월 말부터 7월 초까지 해수욕장들은 개장하고, 광고의 트렌드도 시원한 음료, 선크림, 에어컨 위주로 바뀌었죠. 열대야 캠핑족을 위한 간편한 쿨 용품이 대세를 이룹니다. 물론 내리쬐는 무더위에 시원하고 차가움도 좋지만 자칫 여름철 냉방병과 또 무섭다는 여름감기에 걸려 힘들게 보낼 수도 있습니다. 어김없이 찾아온 여름! 시원하고 건강하게 보내야겠죠?! 건강상담사가 들려주는 여름철 건강이야기에 주목해보세요~ 여름철 날씨에 몸을 따뜻하게?! 여름철엔 날씨만 빼고 모든 것이 다 시원한 ..

기업/참든건강과학 2017. 7. 18. 08:07

현미수는 사랑을 싣고~

[참든건강과학 스토리 17] 현미수는 사랑을 싣고~ “아~ 주말에 쉬었는데도 왜 이렇게 피곤하지?” 주변에서도 알아주는 저질 체력으로 평가 받으며 골골거리던 어느 날, 아는 분의 강력한 추천에 힘입어 반강제로 ‘야채수’를 마시기 시작했습니다. 그냥 마시기가 힘들어 차갑게도 마셔보고 따뜻하게 데워서 마시기도 하며 처음 2~3주 동안은 억지로 마셨죠. 그렇게 3주간 꾸준히 마시니 어느 날부터인가 주변 사람들이 “너 쌩쌩해 보인다. 얼굴도 환해진 것 같고.”라고 말하기 시작했어요. 처음에는 그냥 지나쳤지만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니 ‘왜 갑자기 저런 말을 하지?’저 또한 의아했죠. 실제로 전보다 피곤하지도 않고 좀 더 건강해진 기분도 들었습니다. 그래서 곰곰이 생각해보니 반강제로 마시기 시작했던‘야채수’..

기업/참든건강과학 2017. 6. 28. 09:0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후원하기>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