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1284)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는? (4)
    • 2023년 9월호(167호) (16)
    • 2023년 8월호(166호) (17)
    • 2023년 7월호(165호) (16)
    • 2023년 6월호(164호) (18)
    • 2023년 5월호(163호) (17)
    • 2023년 4월호(162호) (18)
    • 2023년 3월호(161호) (16)
    • 2023년 2월호(160호) (16)
    • 2023년 1월호(159호) (20)
    • 2022년 12월호(158호) (18)
    • 2022년 11월호(157호) (19)
    • 2022년 10월호(156호) (15)
    • 2022년 9월호(155호) (15)
    • 2022년 8월호(154호) (13)
    • 2022년 7월호(153호) (13)
    • 2022년 6월호(152호) (24)
    • 2022년 5월호(151호) (14)
    • 2022년 4월호(150호) (14)
    • 2022년 3월호(149호) (15)
    • 2022년 2월호(148호) (14)
    • 2022년 1월호(147호) (16)
    • 2021년 12월호(146호) (16)
    • 2021년 11월호(145호) (16)
    • 2021년 10월호(144호) (14)
    • 2021년 9월호(143호) (16)
    • 2021년 8월호(142호) (13)
    • 2021년 7월호(141호) (16)
    • 2021년 6월호(140호) (12)
    • 2021년 5월호(139호) (14)
    • 2021년 4월호(138호) (16)
    • 2021년 3월호(137호) (16)
    • 2021년 2월호(136호) (14)
    • 2021년 1월호(135호) (15)
    • 2020년 12월호(134호) (15)
    • 2020년 11월호(133호) (18)
    • 2020년 10월호(132호) (14)
    • 2020년 9월호(131호) (14)
    • 2020년 8월호(130호) (17)
    • 2020년 7월호(129호) (15)
    • 2020년 6월호(128호) (15)
    • 2020년 5월호(127호) (17)
    • 2020년 4월호(126호) (15)
    • 2020년 3월호(125호) (15)
    • 2020년 2월호(124호) (14)
    • 2020년 1월호(123호) (16)
    • 2019년 12월호(122호) (16)
    • 2019년 11월호(121호) (14)
    • 2019년 10월호(120호) (19)
    • 2019년 9월호(119호) (15)
    • 2019년 8월호(118호) (16)
    • 2019년 7월호(117호) (12)
    • 2019년 6월호(116호) (17)
    • 2019년 5월호(115호) (17)
    • 2019년 4월호 (114호) (16)
    • 2019년 3월호(제113호) (17)
    • 2019년 2월호(제112호) (16)
    • 2019년 1월호(제111호) (15)
    • 2018년 12월호(제110호) (16)
    • 2018년 11월호(제109호) (15)
    • 2018년 10월호(제108호) (17)
    • 2018년 9월호(제107호) (15)
    • 2018년 8월호(제106호) (15)
    • 2018년 7월호(제105호) (15)
    • 2018년 6월호(제104호) (15)
    • 2018년 5월호(제103호) (14)
    • 2018년 4월호(제 102호) (12)
    • 2018년 3월호(제 101호) (15)
    • 2018년 2월호(제100호) (16)
    • 삶의 스토리 (22)
    • 기업 (30)
      • 가비양(커피 칼럼 & 스토리) (12)
      • 참든건강과학 (4)
      • 창조기업들 (14)
    • 인문학 (14)
      • 황혼과 여명 (12)
      • 영화 비평 (2)
    • 컬럼 (17)
      • 직장인 스터디 (4)
      •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 (11)
      • 성기원의 심리성장 (2)
    • 교육 (19)
      • 크래들코리아 교육현장칼럼 (11)
    • 여행 (31)
      • 샤넬라송 플라워노트 (4)
      • 일본 규슈 공동체여행기 (25)
    • 예술 (32)
      • Retrospective & Prospective.. (8)
      • 미술 (5)
      • 음악 (13)
      • 방송 & 미디어 (2)
      • 디자이너 (1)
      • 예술인 (3)
    • 환경 (16)
      • 한영식의 생물콘서트 (3)
      • 숲해설사 이야기 (10)
      • 최승호의 환경칼럼 (3)
    • 법률 (2)
      • 황경태 변호사의 법률칼럼 (2)
    • 금융 (4)
      • 금융스토리 (4)
    • 문학 (8)
      • 김단혜 에세이 (3)
      • 시 (5)
    • 뇌과학 & IT (8)
      • IT & 뇌과학 스토리 (5)
    • 농업 (2)
    • 세계문화 (5)
    • 역사 (7)
      • 조경철의 역사칼럼 (5)
    • 책 (1)

검색 레이어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예술/예술인

  • 연극은 작가가 쏜 화살이 배우의 투명한 연기를 통해 정확하게 관객에게 꽂혀야 한다

    2018.01.10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사람과 사람을 잇는 아름다운 손 글씨

    2017.10.26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재미있어 저글링, 건강해서 저글링, 함께해요 저글링!

    2017.07.27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연극은 작가가 쏜 화살이 배우의 투명한 연기를 통해 정확하게 관객에게 꽂혀야 한다

[편집장 김미경이 만난 사람] 연극은 작가가 쏜 화살이 배우의 투명한 연기를 통해 정확하게 관객에게 꽂혀야 한다 추위가 맹위를 떨치던 작년 연말 초, 지방에서 촬영을 마치고 새벽에 올라온 연극인 예수정씨를 만나러 압구정동으로 향했습니다. 은회색 머리카락과 또렷한 말투, 투명한 눈의 그녀 앞에서는 어느 것도 속일 수 없을 것 같은 기분이 들더군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진지한 연극의 바다 속을 헤엄치는 듯한 인터뷰였습니다. 독문학과 연극과의 연결은? 대학시절 독문학을 전공하며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를 만났습니다. ‘극장은 시민 계몽공간이다’라고 한 브레히트의 극장에 대한 정의가 제 가슴을 두근거리게 했지요. 독일의 극작가이며 연출가인 브레히트, 그의 땅으로 날아가야겠단 생각을 했습..

예술/예술인 2018. 1. 10. 09:14

사람과 사람을 잇는 아름다운 손 글씨

[캘리그라피 이야기] 사람과 사람을 잇는 아름다운 손 글씨 ‘블로그에 올려놓은 캘리그라피 시를 보고 작가가 직접 작품을 주문해’ ‘버려진 조카들의 낙서에 담긴 그들의 마음까지 궁금’ ‘캘리그라피의 매력은... 글씨로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것’ 우연히 T V속에서 캘리그라피 작가가 나와 나뭇가지와 풀뿌리 등 자연에서 얻은 도구들로 글씨를 쓰는 데 너무나 인상이 깊었어요. 문득 ‘나도 저렇게 멋진 글씨를 써보고 싶다’란 생각이 들어 캘리그라피 전문학원에 바로 등록했죠. 무료하게 직장생활을 하고 있던 저는, 매일 집에서 2~3시간씩 붓을 들어 글씨연습을 할 정도로 캘리그라피의 매력에 푹 빠져버렸어요. 캘리그라피는 단순히 글씨만 쓰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작업으로도 글씨를 더욱 완성도 있게 만들 수 있고, 다양..

예술/예술인 2017. 10. 26. 19:04

재미있어 저글링, 건강해서 저글링, 함께해요 저글링!

재미있어 저글링, 건강해서 저글링, 함께해요 저글링! 어릴 때 가끔씩 어머니가 귤 드시다가 심심풀이로 저글링하는 걸 보기도 했고, 나 역시 고등학교 때 재미로 저글링을 해보기도 했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저글링이란 공 세 개를 공중에 돌리는 거라고만 생각했었죠.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도 저와 생각이 같을 거라 봅니다. 하지만 스물일곱 즈음에 친구의 소개로 저글링이라는 세계의 진면목을 알게 되었죠. 공 네 개나 다섯 개 이상으로도 할 수 있고, 공뿐만 아니라 도구도 다양하며 즐기는 방식도 정말 많다는 것을요. 또 놀랍게도 저글링은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한국의 전통놀이였다는 것도 알게 되었죠. 한국의 전통놀이 중에 ‘농주’, ‘농환’, ‘금환’등으로 불리는 것이 그것인데, 순우리말로는 ‘공 놀리기’라고 합니다...

예술/예술인 2017. 7. 27. 08:4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후원하기>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