瓜田不納履(과천불납리)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오이밭에서는 신을 신지 말고
자두나무 아래서는 갓을 바로 잡지 말라
현존하는 중국 선집 중 가장 오랜 것으로 알려진 남조 시대의 《문선(文選)》에 나오는 글귀다. 군자는 모름지기 오해를 살 수 있는 불필요한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시경(詩經)》에도 주나라 시대의 으뜸 꽃나무로 매화와 오얏을 꼽았다. 중국이 원산지인 오얏은 자두를 이르는 순우리말로 여러 고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을 만큼 친근한 낱말이다. 자주색 복숭아라는 뜻의 자도(紫桃)가 자두로 변하여 1988년 표준말로 채택된 탓에 쓰임새가 많이 사라졌지만, 옥편에서 李를 ‘오얏 리’라 훈을 단 것처럼 한자 읽기에서는 여전히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내친김에 ‘오얏 리(李)’의 탄생 배경을 살펴보자. 도가의 창시자로 잘 알려진 노자(老子)의 본명은 이이(李耳)인데, 오얏나무 아래에서 태어난 그가 나무 목(木)과 사내아이 자(子) 두 글자를 합쳐 ‘오얏나무 이(李)’라는 성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어쨌든 오얏, 즉 자두는 역사가 오랜 작물 중 하나로서 2천 년 전쯤 로마로 전해진 이래 유럽 및 아메리카 대륙으로 급속히 퍼져나갔다.
장미과 Prunus 속 핵과에 속하는 자두는 전 세계적으로 30여 종의 기본종이 존재하는데, 대표적 품종으로 자색 또는 흑색을 띠는 유럽계 자두(P. domestica)와 황색 또는 진홍색을 띠는 일본계 자두(P. salicina) 등 2종으로 압축된다. 우리나라에서 맛 볼 수 있는 자두는 대여섯 종이다. 6월 말에서 7월 초에 나와 여름이 왔음을 알리는 ‘대석’은 짙은 빨간색에 크기가 작으며 과육이 부드럽고 새콤달콤하다. 7월 중순이 제철인 ‘포모사(일명 후무사)’는 손에 꽉 찰 정도의 크기에 노란색 바탕에 빨간색이 수채화 물감처럼 올라있고 속은 옅은 노란색이다. 과즙이 풍부함에도 씹히는 맛이 제법 있어 우리 입맛에 잘 어울리다 보니 재배량이 가장 많다. 같은 기간 나오는 ‘수박자두’는 겉은 퍼런데 속이 빨갛고 당도가 뛰어나 붙여진 이름이다. 8월 들어 출시되는 ‘피자두’는 이름처럼 겉과 속이 온통 시뻘겋다. 과육이 단단하고 새콤한 데다 색깔도 강해 과일 샐러드로 많이 이용된다. 가을에 접어들면 ‘추희’가 나오는데 자두 중 가장 크고 당도도 높으며 과육이 단단해 자두 중 유일하게 장기보관이 가능하다.
김천 자두가 제59호 지리적표시 농산물로 등록되었다. 우리나라의 자두 재배면적은 3,100 ha 정도로 70% 이상이 경북 지방에서 생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두가 재배된 것은 삼국시대 이전이다. 1920년대 서양과 일본 등지에서 개량종을 들여오기 훨씬 이전부터 재래종의 기록이 《삼국유사(三國遺事)》등에 실려 있다. 주 재배지인 경상도 지방에서는 자두를 ‘에추’라 불렀는데 사과나 복숭아에 비해 보잘것없는 과일이라는 비하성 방언이다. 하지만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따르면, ‘오얏이 갈증을 멎게 하고 피로 회복과 식욕 증진을 꾀하며 체질 개선 및 열독(熱毒), 치통, 이질을 낫게 한다. 잎을 삶은 물은 땀띠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골절이 쑤시는 것과 오랜 열을 다스린다’고 하였고, 민간요법으로도 ‘자두를 절여 장복하면 간장에 좋고 씨는 수종을 내리고 얼굴 기미를 없앤다’고 하였다.
자두의 일반 영양성분을 살펴보면 수분 84.7%, 탄수화물 13.7%, 칼슘 8mg, 인 145mg, 비타민C 5mg 등이 함유되어 있다. 사과산과 구연산 등 유기산이 1~2% 들어있어 신맛이 강한 편이다. 식물성 섬유소와 다량의 펙틴질을 함유하고 있어 쨈과 젤리가 잘 만들어진다. 또 카로티노이드 같은 비타민류와 칼슘, 인, 철, 칼륨 등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소량이지만 10여 종의 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있다. 항산화 및 생리활성 증진물질로 알려진 폴리페놀의 생과 100g당 함량을 따져보면 자두가 471mg, 사과가 320~474mg, 배가 271~408mg, 키위가 274mg로 다른 과일에 비해 높은 편이다. 유용한 색소 성분인 안토시아닌 함량도 100g당 자두가 33~173mg 정도로 복숭아의 6~37mg보다 월등히 높다.
무더위가 한창인 여름철에 맛보는 자두 생과는 쉽게 물러지므로 잘 골라야 한다. 너무 익으면 당도가 낮아지고 새콤한 맛도 덜해진다. 오감 중 시각, 촉각, 후각별로 고르는 법을 소개하면,
시각 - 둥글고 뭉턱한 것보다 뾰족하고 푸른빛이 감도는 붉은 자두를 고른다.
촉각 - 만져서 무르지 않고 적당히 딱딱한 것을 고른다.
후각 - 자두 특유의 향이 강한 것을 고른다.
아주 오랜 옛날, 더위와 갈증에 힘들어하던 병사들에게 장군이 “저 마을에 자두나무가 많이 있다!”고 고함을 질러 그 소리에 힘을 얻은 병사들이 무사히 행군을 마쳤다는 중국 고사가 전해지고 있다. 말만 들어도 군침을 흘리게 만드는 자두, 여러분에게도 활력소가 될 것임에 틀림없다.
K-Geofood Academy 소장 신완섭
《코리안 지오푸드》저자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66호>에 실려 있습니다.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는
정기구독을 신청하시면 매월 댁으로 발송해드립니다.
연락처 : 편집장 김미경 010-8781-6874
1 구좌 : 2만원(1년동안 신문을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예금주 : 김미경(동네신문)
계 좌 : 국민은행 639001-01-509699
8월의 허브이야기 페퍼민트 (peppermint) (0) | 2024.06.06 |
---|---|
역사의 도시 ‘부여’, 푸드카빙의 뿌리를 내리다! (2) | 2024.06.06 |
40대 ‘신입’의 좌충우돌 직장적응 필살기 (0) | 2024.06.06 |
이것이 진정 독일의 날씨인가? (1) | 2024.06.06 |
랑카위에서 사바섬까지 #1 (0) | 2024.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