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홀가분한 두 가족의 식사문화 이야기

2018년 3월호(제 101호)

by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2018. 3. 13. 09:30

본문

[홀가분 연구소 - 가족문화 칼럼 17]

홀가분한 두 가족의 식사문화 이야기


식사시간에 서로에게 감사한 일을 전해요. (서울 사당동 K씨 가족)
  아이들이 어렸을 때에는 ‘가족의 식사문화’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미처 하지 못했어요. 그래서 아빠는 말없이 TV를 보면서 밥을 먹다가 아이들이 떠든다 싶으면 조용히 하라고 야단치기 일쑤였죠. 아이들은 틈만 나면 자리를 뜨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와서 식사에 집중하지 못하는 날이 대부분이었어요. 식사시간이 어른은 어른대로, 아이는 아이대로 잔뜩 불만어린 시간이었죠. 이렇게 한참 고민을 이어가던 중, 우연히 ‘홀가분연구소’ 소장님의 강연을 듣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저희 부부는 바람직한 가족의 식사문화를 재정립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다짐했습니다.
  가장 먼저 노력한 것이 바로 ‘식탁에서의 감사대화’였습니다. 평소에도 말을 잘 하는 남편이지만 더 적극적으로 동참해준 덕분에 손쉽게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방법은 식사를 시작하기 전에 순서를 정해 돌아가면서 하루의 일과 중 서로에게 감사한 일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아빠가 아침에 공놀이해줘서 고마웠어요.”, “엄마가 우리를 위해 맛있는 밥을 차려줘서 고마워요.”, “오빠가 장난감 줘서 고마워.”
  예전 같으면 당연하다고 지나칠 수 있는 것들도 적극적으로 고마운 마음을 표현하면서 서로에게 더없는 소중함을 느끼게 되었지요. 그리고 시작부터 훈훈한 분위기 덕분인지 예전에 비해 가족식사가 한층 편안해졌습니다.
  감사대화를 마친 후에 이제는 식사를 하면서 가족의 대화는 이어졌습니다. 이 때 일상의 소재로 대화를 이어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었고, ‘홀가분연구소’에서 소개해주신 추천질문도 가족들의 속마음을 알아가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제 저희 가족에게 식사시간은 긴장과 갈등의 도화선이 아니라 서로를 더 깊이 알아가는 시간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신문을 통해 많은 가족들이 즐거운 식사시간을 누리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가족식사에서 나누기 좋은 질문

< 제공 : 미국 가족식사 운동본부 >


˙ 집에서 가장 편안한 곳이 어디니?

˙ 오늘 밥 먹을 때 좋은 음악을 고르라면 어떤 걸 고를래?

˙ TV에 나오는 가족들 중 우리와 비슷한 가족이 있나?

˙ 친구를 고를 땐 어떤 점을 보고 사귀니?

˙ 어느 놀이 공원이 제일 좋니? 어떤 기구가 제일 재미있어?

˙ 야생동물을 마음대로 고를 수 있다면 어떤 동물을 키우고 싶어?

˙ 우리 가족을 한 마디로 표현하는 적당한 단어가 있을까?

˙ 특별한 재능을 가질 수 있다면 어떤 능력을 가지고 싶어?

˙ 가족들이랑 가장 하고 싶은 건 뭐고, 가장 하기 싫은 건 어떤 거야?



일요일은 아빠와 아이들이 준비하는 가족밥상!  (일산 화정동 H씨 가족)
  저희 가족은 맞벌이 부부와 초등학생인 두 아들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한창 식욕이 왕성한 시기이다 보니 정해진 식사시간 외에도 수시로 간식을 준비하느라 제 아내는 부엌을 좀처럼 떠날 수가 없습니다. 하루는 직장을 다녀온 후에도 가족을 위해 애쓰는 아내의 모습이 너무 안쓰러워 보였습니다. 함께 편안해야 할 가족인데 아내는 그렇지 않은 것 같았죠. 그래서 그런 것을 느낀 이후 가족에서의 제 권위를 앞세워 일요일은 ‘엄마의 휴무일’로 지정했습니다. 대신 다 같이 외식을 하거나 아이들과 제가 밥상을 차리기로 한 것이죠. 초기에는 가장 좋아할 것이라고 여겼던 아내의 우려가 오히려 가장 컸습니다. “삼시세끼 외식을 한다고? 그 돈을 어떻게 감당하려고 해?”, “당신이 요리를 해본 건 있어? 저 말썽꾸러기 애들한테 시켰다가 뒷정리가 더 감당 안될걸?”... “일단은 해보자!”
  요즘은 어떠냐고요? 우선 아내가 가장 행복해하지요.^^ 가장 큰 변화는 식사를 준비하거나 아이들 반찬을 챙겨주느라 늘 분주했던 아내가 온전히 가족식사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지요. 그것도 걱정 하나 없는 매우 편안한 표정으로요!
  그리고 저와 아이들은 일요일이 오기 전에 근처 맛집을 검색하면서 일요일 여가계획을 세우기도 합니다. 저는 아직까지 집에서 많은 요리를 해보진 못했지만, 카레나 김치볶음밥 같이 쉬운 것부터 하나 둘 시도해보고 있어요. 하하. 아내의 일요일 휴가를 정하기 전까지는 ‘집밥’아니면 ‘엄마가 차려준 밥상을 먹는 것’만을 가족식사라고 여겼습니다. 그래서 저녁밥상이 제대로 차려지지 않은 날은 괜시리 아내의 역할을 꼬집기도 하였죠.
  하지만 우리 가족의 일요일 풍경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장소가 어디든 메뉴가 무엇이든 간에 가족이 함께 모여 즐거이 나누는 식사야말로 진짜 가족식사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가족 모두를 배려하기 위해 생긴 우리 가족의 외식문화가 어느덧 저희의 중요한 식사문화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 가족 한사람 한사람이 식탁에 온다는 것은 그 사람이 보낸 하루의 추억과 생각도 함께 오는 것이 아닐까요? 가족 모두에게 조금만 더 호기심을 가지고 바라봐주세요. 식사시간이 새로움과 즐거움의 연속이 될 것입니다. 

홀가분연구소 이미혜
ohmyfamily@holga.co.kr

이 글은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제 101호 >에 실려 있습니다.

 

<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 칼럼 바로가기 >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칼럼 17]

제 101호 홀가분한 두 가족의 식사문화 이야기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칼럼 16]

제 100호 가족의 다른 이름, 함께 밥을 먹는 사람 , “식구食口”


[홀가분연구소 가족문화칼럼 15]

제 99호 가족규칙 만들기로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워요.




<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는 

  • '지역적 동네'뿐 아니라 '영역적 동네'로 확장하여 각각의 영역 속에 모여 사는 수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스토리와 그 속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문명, 문화현상들을 동정적이고 창조적 비평과 함께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국내 유일한 동네신문입니다.
  • 일체의 광고를 싣지 않으며, 이 신문을 읽는 분들의 구좌제와 후원을 통해 발행되는 여러분의 동네신문입니다.
  • 정기구독을 신청하시면 매월 댁으로 발송해드립니다. 

    연락처 : 편집장 김미경 010-8781-6874

    1 구좌 : 2만원(1년동안 신문을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예금주 : 김미경(동네신문)

    계   좌 : 국민은행 639001-01-509699



관련글 더보기